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 관련101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 알아보기 장단기 금리 역전현상 이란? 여기서 금리는 채권 수익률을 말한다. 보통 미국채 10년물, 미국채 2년 물로 비교를 하는데 여기서 10년물은 장기금리, 2년물은 단기금리이다. 장기금리는 단기금리보다 위에 있어야 정상이다. 왜냐면 10년 만기 장기채권은 기간이 길고 나중에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더 큰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그래서 더 큰 위험성을 감수해야 하는 장기채권에 더 큰 이자를 주게 된다. 그런데 단기채권 수익률이 장기채권 수익률보다 높아졌다는 것이다. 장단기 금리 역전 의미는? 2년 만기 채권 금리가 더 높다는 것은 2년 뒤 경기전망이 더 불확실한 것을 의미한다. 경기 전망이 불확실하면 투자자들은 단기채를 기피하게 되고 사려는 사람이 감소하면서 채권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채권은 채권가격과 금리.. 2023. 3. 17.
SVB(미국 상업은행) 파산사태 과정, 이유는 무엇인가 ◆SVB란? SVB는 1983년 설립된 상업은행이다. 개인부문도 있지만 실리콘밸리로 대변되는 VC와 테크기업 등에 특화된 업태를 갖는다. 자산규모는 2022년 말 기준 2090억 달러 수준이다. 고객으로는 넷플릭스, 에어비앤비, 페이팔 등 글로벌 IT기업도 포함돼 있으며, 약 1800여 개의 테크기업들과 거래를 해왔다. 지난해 매출 기준으로 상업금융이 52.4%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개인금융은 전체 매출 비중에서 10%를 밑돈다. ◆ SVB파산 과정 SVB는 지난 8일 자본 확충을 위해 22억 5000만 달러를 증자해야 한다는 소식으로 투자자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SVB는 이날 판매가능 유가증권을 18억 달러 손실을 보고 매각할 수밖에 없었다고 실토했다. 이후 뱅크런(예금 대량인출) 사태가 벌어졌다.. 2023. 3. 13.
미국 연준(Fed)에 대해 알아보자(+매파적, 비둘기적) 연준은 연방준비제도(Fed)의 줄임말로 미국의 중앙은행이다. 2020년 3월 전 세계 금융시장이 코로나 팬데믹으로 패닉에 빠졌을 때 연준의 과감한 금리인하와 유동성 공급 정책에 힘입어 빠르게 정상화할 수 있었다. 2022년엔 느슨했었던 연준의 통화정책이 다소 타이트해지려자 연초부터 주식시장을 비롯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을 겪었다. 이렇듯 미연준의 의사 결정에 따라 금융 및 자본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 이유는 연준이 달러 발행권을 포함한 막강한 통화 정책 의사결정권을 독립적으로 갖고 있기 때문이다. 1.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미국의회에 보고하고 의회에 직접 책임을 지는 연방정부기관이다. 이사 7명, 의장 1명(대통령임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현재 의장은 제롬 파월이다. 2. 지역 연방준.. 2023. 3. 10.
애플페이 관련 종목에 대해 알아보자<하인크코리아, 이루온, 한국정보통신> ▷3월 말 출시 전망인 애플페이 애플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3월 내로 개시될 전망이다. 이달 초에 출시가 유력했지만 단말기 보급 문제 등으로 출시가 지연된 것으로 보인다. 현대카드와 함께 국내 정식 출시될 예정으로 이미 국내 주요 유통기업들이 애플레이 사용 준비에 들어섰다. 롯데마트와 롯데슈퍼, 맥스 등을 운영하는 롯데쇼핑은 애플페이용 단말기 도입에 힘을 쏟고 있다. 홈플러스도 단말기를 갖추고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리아, 맥도널드, 교보문고 등 주요 유통기업들도 결제 가능 단말기를 설치하거나 준비하고 있다. 이마트와 스타벅스, 신세계백화점 등에서는 NFC(근접무선통신) 설치되지 않았거나 결제를 위한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은 상태지만 업계에서는 신세계 계열.. 2023. 3. 8.